Q. 고관절(엉치 부분)을 건강하게 유지시키는 방법 알려주세요?
모든 관절의 기능을 최대로 유지하는 방법은 꾸준한 근력 운동과 과도한 신체 활동을 자제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무리한 운동을 하기 전에 반드시 근력 운동을 병행하시고 만일 과도한 운동으로 인해 증상이 있을 경우 적절한 치료를 조기에 받는 것이 관절 손상을 예방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하겠습니다.
X
기타
Q
걸을 때 골반이 아프고 가끔 소리가 납니다.
A
Q. 걸을 때 골반이 아프고 앉았다 일어날 때 소리가 납니다. 문제가 있는 걸까요?
골반 주변에서 소리가 날 경우 통증을 수반하게 되면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소리가 나는 증상이 언제나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큰 염려는 하지 않으셔도 되겠습니다.
X
무릎
Q
연골재생 주사로 연골이 생기나요?
A
Q) 검사결과 연골손상이 심하다는 진단을 받았지만, 수술 받는 것이 무서워서 비수술적 치료를 하려고 합니다. 무릎 연골재생주사를 맞으면 연골이 원래대로 생기는 건가요?
무릎 연골 주사는 연골이 원래대로 생기게 하진 않습니다. 관절염 환자들의 관절액은 하이알루로난 농도가 낮으므로 인공 관절 연골액을 보충하여 관절염의 진행을 느리게 하고 활액막염을 낮추려는 목적에서 주사를 합니다.
X
무릎
Q
연골 배양이식술 후 보조기는 필수?
A
Q) 자가연골 배양이식술(ACI) 후 보조기착용을 해야 한다고 들었습니다. 보조기가 꼭 필요한가요?
자가 연골 배양이식술은 경골(정강이뼈)의 골막을 벗겨낸 뒤 관절연골 결손부위에 골막을 봉합합니다. 그 골막 내부로 배양 연골을 주사기로 주입하는 방법으로서 이 연골들이 성숙되기전까지는 상당히 약하므로 보조기로 보호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X
무릎
Q
자기 관절 살리는 수술법의 회복기간은?
A
Q) 자가 골 연골 이식술, 자가연골 배양이식술, 연골판 이식술 등 각각의 수술에 따라 회복기간은 어느 정도 걸리나요?
자가 골 연골 이식술
-> 수술 후 4-6개월이 지나야 운동이 가능
자가연골 배양이식술
-> 수술 후 9-12개월이 지나야 운동이 가능
연골판 이식술
-> 수술 후 6개월이 지나야 조깅 등의 운동이 가능 / 18개월이 지나면 정상적인 스포츠 활동이 가능함.
X
무릎
Q
연골재생술, 나이와 상관없나요?
A
Q) 연골재생 하는 수술이 있다고 들었는데 나이 많은 사람도 가능한가요?
자가연골 배양이식술은 약 55세까지, 자가 골 연골 이식술은 약 50세까지 가능합니다. 그러나 관절 연골상태의 침범 정도가 심하면 자기관절을 살릴 수 있는 이런 수술은 할 수 없습니다.
X
무릎
Q
연골을 이식하면 반드시 재생되나요?
A
Q) 연골을 배양한 후 이식할 때 연골이 재생되지 않을 수 있나요? 다른 사람의 연골을 배당 받을 수는 없나요?
자가연골 배양이식술 후 연골이 재생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런 경우 다른 사람의 골연골 이식(신선 동종 골연골 이식술)을 할 수도 있습니다.
X
무릎
Q
연골 배양이식술 후 운동은?
A
Q) 자가연골 배양이식술을 받았습니다. 이식이 잘 되었는지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일도 해야 되는데 수술 전과 같은 일상생활은 물론 조깅 및 축구, 등산 등의 운동을 해도 되나요?
자가연골 배양이식술 이식이 잘 되었는지는 MRI검사나 진단적 관절내시경 검사로 확인합니다. 조깅은 수술 후 9개월 후에나 가능하며 축구, 농구 같은 활동성 있는 운동이나 등산은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X
무릎
Q
‘연골’과 ‘연골판’ 의 차이점은?
A
Q 군대에 있는 동생이 축구경기를 하고 난 후 무릎이 아프다고 연락이 왔습니다. 본인은 연골손상이 아닐까 짐작을 했는데 검사결과 ‘반월상 연골판’이 파열되었다는 진단을 받았다고 합니다. 두 용어 모두 많이 들어보기는 했는데 어떻게 다른지 궁금하네요.
환자분들이 혼동해서 사용하는 용어들이 있어서 쉽게 정리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의학적 용어로 관절연골이라 함은 관절을 형성하는 양쪽 뼈의 말단부에 우유빛깔의 연골이 코팅이 되어 있는 부위를 말합니다. 이것이 닳은 상태를 관절염이라고 부릅니다.
또한 반월상 연골판(반달모양의 연골판)이라는 것은 무릎의 양쪽 관절연골의 가장 자리에 위치해 있으며 관절연골의 쿠션역할을 해주는 조직입니다. 반월상 연골판이 파열이 되었다면 무릎관절 내시경으로 봉합 또는 절제술을 할 수 있습니다. 반월상 연골판이 심하게 파열되었을 시 과거에는 절제술을 많이 시행했는데, 퇴행성 관절염의 생길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연골판 이식술을 하기도 합니다.
X
무릎
Q
무릎아래 종아리 안 쪽이 시큰거립니다
A
Q) 갑자기 길을 걷는데 종아리 앞쪽 부분이 시큰거리는 증상이 있어서 날씨가 추워서 그런가 보다 싶었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가도 여전히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것도 관절염의 시작인가요? 제 나이는 50입니다.
나이가 50세 이상으로 무릎의 내측이 시큰거리거나 혹은 새큰거린다면 관절염의 가능성이 큽니다. 통증을 참지 말고 병원에 나오셔서 진료를 받으시고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